[성공하는 재테크] 재테크에도 일반적인 법칙이 있다
72의 법칙·-50/+100 법칙·부자지수의 공식 등 고려해 투자해야
누구나 재테크에 성공하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막상 재테크를 시작하려면 막막한 것도 사실이다. 오늘은 재테크의 방법을 잘 모르거나 막막한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일반적인 재테크의 법칙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복리투자에 활용하는 72의 법칙이다. ‘72의 법칙’이란 복리의 마술을 잘 설명하는 법칙으로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다. 복리의 매력을 설명하기 위한 가장 쉬운 예로 흔히 인디언과 초기 미국 이민자들 간의 거래에 쓰인다.
1626년 당시 인디언들에게 지급한 맨해튼 섬의 대가는 겨우 24달러 상당의 장신구와 구슬이었다. 이를 두고 사람들은 현재 맨해튼 섬의 가치를 떠올리며 당시 헐값에 땅을 판 인디언들의 어리석음을 비웃었다.
하지만 미국의 유명한 펀드매니저 피터 린치는 당시 인디언들이 땅값으로 받은 물건을 현금으로 바꿔 연리 8%의 채권에 복리로 투자했을 경우 360여년이 흐른 1989년에는 그 가치는 32조 달러에 이른다고 그의 저서에서 설명했다.
이 사례는 복리투자의 매력을 잘 설명해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복리는 투자자가 시간을 자기편으로 만들 수 있는 매력적인 마술 지팡이인 셈이다. 이처럼 72의 법칙은 복리의 마술을 설명해준다. 사실 복리계산은 계산기로도 한참 시간이 걸릴 정도로 어렵지만, 이 법칙을 사용하면 손쉽게 복리계산을 해낼 수 있다. 72의 법칙은 투자금액을 얼마 만에 두 배로 늘릴 수 있을 것인가를 계산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연간 12%의 수익률로 운용하게 된다면 72를 12으로 나눈 값, 즉 6년이면 투자금액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마찬가지로 3년 후, 5년 후에 현재의 돈을 두 배로 만들고 싶을 때 매년 몇 %의 투자수익률을 올려야 하는지를 알고자 할 경우에도 72를 각각의 예정 년 수로 나누면 된다.
72의 법칙은 적절한 수준으로 꾸준한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주식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면 장기적으로 큰 보답을 받을 수 있다는 교훈을 준다.
두 번째, -50/+100의 법칙이다. -50/+100의 법칙은 리스크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는 법칙이다. 수익률을 많이 낸 것 같은데, 투자총액은 잘해야 본전 수준이거나 오히려 마이너스가 났다고 이야기하는 주식투자자들이 많다.
이는 하락시 수익률과 상승시 수익률이 같다고 착각을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50%의 수익률을 회복하기 위해서 +50%의 수익률을 내면 된다고 착각한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50%의 수익률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100%의 수익률이 필요하다. 1억원어치 주식이 폭락해서 가치가 5000만원으로 떨어진다면, 5000만원이 두 배로 늘어나야 원금회복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의 심리상 오르는 주식은 빨리 팔려고 하고, 내리는 주식은 본전 생각에 팔기 힘든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주식투자를 해서 아무리 수익률을 많이 내는 것 같아도 결과적으로는 제 자리 걸음만 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기 쉽다. 그래서 -50/+100의 법칙은 리스크 관리의 측면, 특히 상승 가능성이 높은 종목보다 하락 가능성이 적은 종목을 찾아야 함을 잘 설명하고 있다.
세 번째, 100-나이의 법칙이다. 저금리시대에 어디에 투자를 해야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을까. 은행의 금리에만 투자를 한다면 물가상승률을 따라 가기도 버거울 것이다. 이럴 때 얼마만큼의 자산을 투자형 자산에 투자할지를 알려주는 한 방법이다.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대상이 존재한다면 좋겠지만 현실에선 고수익이 뒤따르는 금융상품은 리스크가 수반되고, 원금을 잃지 않을 수 있는 안정성이 높은 상품은 수익률이 낮은 경우가 허다하다.
그렇기 때문에 두 가지를 적절히 배분을 해나가야 한다. 재테크 초보자를 위한 판단의 기준으로 '100-나이' 공식이 자주 활용된다. 계산을 통해 나온 수치의 비율만큼 수익성 자산에 투자를 하고, 나머지 수치만큼은 안정성자산에 투자를 하는 것이다. 즉 나이가 35살이라면 수익성 자산에 65%. 안정성 자산에 35%를 투자하는 방식이다.
젊을수록 위험과 그로 인한 충격을 쉽게 극복해나갈 수 있고, 고령층보다 투자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 투자대상의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공식이 절대적인 투자자산의 배분기준은 아니지만, 이를 통해 나의 투자자산 비중을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지의 판단에 도움이 된다.
네 번째, 부자지수의 공식을 활용하는 법칙이다. 부자가 되는 방법은 사업, 부자와의 결혼, 로또 당첨 등 다양하다. 그중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방법은 자신의 소득을 아껴 사용하고, 남은 돈으로 저축이나 투자를 해나가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소비성향이 낮은 사람이 소비성향이 높은 사람보다 부자가 되기 쉽다고 한다. 그런 개념을 바탕으로 한 부자지수를 따져보는 공식이 있다. '부자지수(%)= (순자산액×10) ÷ (나이×연간 총소득)'이다.
여기서 순자산이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자산을 의미한다. 1억 대출을 받아 마련한 3억원짜리 집이 한 채 있다고 가정해보면, 주택 총자산은 3억원이지만 부채를 뺀 순자산은 2억원이다.
이 공식을 통해 나온 결과는 현재 부자인가, 아닌가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현재 총소득 대비 자산관리를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현재의 소득과 지출관리 상태를 통해 미래의 부자가능성을 엿보는 것이다.
이 계산식은 결코 절대적인 잣대는 아니다. 소득이 적어도 부모 등에게 받은 순자산이 많다면 부자지수가 높게 나타나는 오류가 생길 수도 있다. 하지만 부채를 줄이고 순자산액을 늘리는 것이 부자가 되는 비법이란 평범한 원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자신의 소득과 지출 관리와 관련한 생활태도를 살펴보는데 있어 유용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해마다 이를 비교해보아 증가하는 추세라면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 중이므로 부자가 되어가는 중이라 할 수 있다. 반면 특별한 이유 없이 수치가 떨어진다면 과소비 등 소득과 지출관리를 포함한 자신의 전반적인 경제활동에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닌지 등의 점검이 요구된다.
첫 번째는, 복리투자에 활용하는 72의 법칙이다. ‘72의 법칙’이란 복리의 마술을 잘 설명하는 법칙으로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다. 복리의 매력을 설명하기 위한 가장 쉬운 예로 흔히 인디언과 초기 미국 이민자들 간의 거래에 쓰인다.
1626년 당시 인디언들에게 지급한 맨해튼 섬의 대가는 겨우 24달러 상당의 장신구와 구슬이었다. 이를 두고 사람들은 현재 맨해튼 섬의 가치를 떠올리며 당시 헐값에 땅을 판 인디언들의 어리석음을 비웃었다.
하지만 미국의 유명한 펀드매니저 피터 린치는 당시 인디언들이 땅값으로 받은 물건을 현금으로 바꿔 연리 8%의 채권에 복리로 투자했을 경우 360여년이 흐른 1989년에는 그 가치는 32조 달러에 이른다고 그의 저서에서 설명했다.
이 사례는 복리투자의 매력을 잘 설명해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복리는 투자자가 시간을 자기편으로 만들 수 있는 매력적인 마술 지팡이인 셈이다. 이처럼 72의 법칙은 복리의 마술을 설명해준다. 사실 복리계산은 계산기로도 한참 시간이 걸릴 정도로 어렵지만, 이 법칙을 사용하면 손쉽게 복리계산을 해낼 수 있다. 72의 법칙은 투자금액을 얼마 만에 두 배로 늘릴 수 있을 것인가를 계산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연간 12%의 수익률로 운용하게 된다면 72를 12으로 나눈 값, 즉 6년이면 투자금액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마찬가지로 3년 후, 5년 후에 현재의 돈을 두 배로 만들고 싶을 때 매년 몇 %의 투자수익률을 올려야 하는지를 알고자 할 경우에도 72를 각각의 예정 년 수로 나누면 된다.
72의 법칙은 적절한 수준으로 꾸준한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주식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면 장기적으로 큰 보답을 받을 수 있다는 교훈을 준다.
두 번째, -50/+100의 법칙이다. -50/+100의 법칙은 리스크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는 법칙이다. 수익률을 많이 낸 것 같은데, 투자총액은 잘해야 본전 수준이거나 오히려 마이너스가 났다고 이야기하는 주식투자자들이 많다.
이는 하락시 수익률과 상승시 수익률이 같다고 착각을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50%의 수익률을 회복하기 위해서 +50%의 수익률을 내면 된다고 착각한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50%의 수익률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100%의 수익률이 필요하다. 1억원어치 주식이 폭락해서 가치가 5000만원으로 떨어진다면, 5000만원이 두 배로 늘어나야 원금회복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의 심리상 오르는 주식은 빨리 팔려고 하고, 내리는 주식은 본전 생각에 팔기 힘든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주식투자를 해서 아무리 수익률을 많이 내는 것 같아도 결과적으로는 제 자리 걸음만 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기 쉽다. 그래서 -50/+100의 법칙은 리스크 관리의 측면, 특히 상승 가능성이 높은 종목보다 하락 가능성이 적은 종목을 찾아야 함을 잘 설명하고 있다.
세 번째, 100-나이의 법칙이다. 저금리시대에 어디에 투자를 해야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을까. 은행의 금리에만 투자를 한다면 물가상승률을 따라 가기도 버거울 것이다. 이럴 때 얼마만큼의 자산을 투자형 자산에 투자할지를 알려주는 한 방법이다.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대상이 존재한다면 좋겠지만 현실에선 고수익이 뒤따르는 금융상품은 리스크가 수반되고, 원금을 잃지 않을 수 있는 안정성이 높은 상품은 수익률이 낮은 경우가 허다하다.
그렇기 때문에 두 가지를 적절히 배분을 해나가야 한다. 재테크 초보자를 위한 판단의 기준으로 '100-나이' 공식이 자주 활용된다. 계산을 통해 나온 수치의 비율만큼 수익성 자산에 투자를 하고, 나머지 수치만큼은 안정성자산에 투자를 하는 것이다. 즉 나이가 35살이라면 수익성 자산에 65%. 안정성 자산에 35%를 투자하는 방식이다.
젊을수록 위험과 그로 인한 충격을 쉽게 극복해나갈 수 있고, 고령층보다 투자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 투자대상의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공식이 절대적인 투자자산의 배분기준은 아니지만, 이를 통해 나의 투자자산 비중을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지의 판단에 도움이 된다.
네 번째, 부자지수의 공식을 활용하는 법칙이다. 부자가 되는 방법은 사업, 부자와의 결혼, 로또 당첨 등 다양하다. 그중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방법은 자신의 소득을 아껴 사용하고, 남은 돈으로 저축이나 투자를 해나가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소비성향이 낮은 사람이 소비성향이 높은 사람보다 부자가 되기 쉽다고 한다. 그런 개념을 바탕으로 한 부자지수를 따져보는 공식이 있다. '부자지수(%)= (순자산액×10) ÷ (나이×연간 총소득)'이다.
여기서 순자산이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자산을 의미한다. 1억 대출을 받아 마련한 3억원짜리 집이 한 채 있다고 가정해보면, 주택 총자산은 3억원이지만 부채를 뺀 순자산은 2억원이다.
이 공식을 통해 나온 결과는 현재 부자인가, 아닌가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현재 총소득 대비 자산관리를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현재의 소득과 지출관리 상태를 통해 미래의 부자가능성을 엿보는 것이다.
이 계산식은 결코 절대적인 잣대는 아니다. 소득이 적어도 부모 등에게 받은 순자산이 많다면 부자지수가 높게 나타나는 오류가 생길 수도 있다. 하지만 부채를 줄이고 순자산액을 늘리는 것이 부자가 되는 비법이란 평범한 원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자신의 소득과 지출 관리와 관련한 생활태도를 살펴보는데 있어 유용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해마다 이를 비교해보아 증가하는 추세라면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 중이므로 부자가 되어가는 중이라 할 수 있다. 반면 특별한 이유 없이 수치가 떨어진다면 과소비 등 소득과 지출관리를 포함한 자신의 전반적인 경제활동에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닌지 등의 점검이 요구된다.
글 : 최동규 한국지식경제진흥원 대전·충청지사 대표
No comments:
Post a Comment